캐스터넷![]() |
기술지원 > 48번 | 2011.06.08 (12:02:18) |
1. 과적재 금지: 허용하중 이상의 하중을 적재하면 제품이 손상됩니다.
2. 테이블 규격 이내 적재: 테이블 규격 이내 크기의 적재물을 올려놓습니다.
3. 편하중 금지: 적재물을 테이블 정 중앙에 놓아야 안전합니다. 편하중이 발생하면 제품이 손상됩니다.
4. 기계 내부 출입 금지: 테이블을 상승시킨 후 상판 아래 들어가지 마십시오. 점검 및 보수를 위해 부득이하게 들어가야 할 경우, 상판을 지지대 또는 크레인으로 하강되지 않도록 안전조치를 먼저 해야 합니다.
5. 상승 및 하강시 가위처럼 접혔다 펴지는 링크 사이에 손을 넣지 마십시오. 매우 위험합니다.
1. 상승시: 상승버튼을 누르는 동안 올라가고, 손을 떼면 그 자리에서 멈춥니다.
2. 하강시: 하강버튼을 누르는 동안 내려가고, 손을 떼면 그 자리에서 멈춥니다.
3. 비상시: 비상버튼을 누르는 즉시 전원이 차단되어 모든 작동이 그 자리에서 멈추며, 상승버튼과 하강버튼을 눌러도 작동되지 않습니다.
4. 비상 해제시: 비상버튼을 오른쪽으로 돌리면 비상 해제 및 복구가 되어, 다시 상승버튼 또는 하강버튼으로 조작할 수 있습니다.
1. 링크의 관절부마다 있는 그리스니플에 주기적으로 그리스를 주입하십시오. 사용 빈도에 따라 3~6개월에 한 번씩 주입이 필요합니다. 테이블리프트에 부하가 가장 많이 걸리는 부분이고, 그리스 수명이 다한 상태에 계속 작동을 하면 쇠끼리 깎아먹어 기계 수명이 떨어집니다.
1. 작동시, 유압오일은 유압실린더를 통해 아주 조금씩 손실됩니다. 최고높이까지 올라가던 테이블리프트가 일정 높이 이상 올라가지 않는 경우, 대부분의 원인은 유압오일이 모자르기 때문입니다.
2. 연 1회, 유압오일 주입구에 유압오일을 보충해 주십시오. 유압작동유(32번 또는 46번. 32번이 더 묽음)를 보충하시면 됩니다. 가득 채울 필요 없이, 테이블의 최고 상승높이까지 올라가기만 하면 됩니다. 만일 유압오일이 너무 많으면 테이블리프트 작동시 유압오일 배출구를 통해 흘러나오게 됩니다.
3. 최고 상승높이까지 올라가는 데 문제 없다면 유압오일을 보충할 필요가 없습니다.
1. 테이블리프트의 상승속도는 조절이 안됩니다. 그러나 하강속도는 조절할 수 있습니다.
2. 테이블의 하강이 너무 느리거나 빠를 경우, 유량조절밸브를 조절하여 하강속도를 조절합니다. 밸브는 유압오일통 가까이 있습니다.
3. 테이블 하강속도를 너무 빠르게 설정할 경우, 맨 아래까지 내려오며 쿵 떨어질 수 있으며, 반복되면 제품이 손상되므로 적당히 조절하십시오.
4. 주의: 유지보수시에는 기계 내부에 들어가야 하므로 반드시 테이블 하강 안전조치 후 작업하십시오.
1. 땅을 파서 테이블리프트를 매입할 경우에는, 배수로를 함께 설계해야 합니다.
2. 주기적으로 배수로를 점검하여, 테이블리프트가 침수되는 일이 없도록 관리해 주십시오.
개인정보취급방침 | 사이버몰이용약관 | YouTube 서비스 약관 | 호스팅사업자: 정보넷